트랜잭션 전파 속성트랜잭션의 전파속성이란 중첩된 트랜잭션 구조가 나왔을 때, 어떻게 동작 시킬지를 결정하는 속성이다.DB수준에서 중첩 트랜잭션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부분적으로 sql구문을 롤백시킬수는 있으나 중첩 트랜잭션은 존재하지 않는다.프로그래밍단에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부착된 메서드의 중첩 구조가 나타날 수 있고, 스프링에서는 중첩된 구조에서 다양한 옵션으로 트랜잭션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완전히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옵션 또한 제공하고 있다. * 앞으로 설명한 용어에서 부모-자식 트랜잭션이라는 표현은 프로그래밍 서버 기준이며 실제 DB에서 부모-자식 트랜잭션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것에 주의하자. DB 트랜잭션[중첩 트랜잭션 미지원]start transacti..

스프링의 디스패처 서블릿은 http 요청을 적절할 컨트롤러에 위임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패처 서블릿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바 서블릿, 서블릿 컨테이너, MVC에 대한 사전 지식을 필요로 한다.이에 대한 설명을 먼저 진행하고 디스패처 서블릿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이왕 하는거 REST 설명까지 넣었다. 물론 서블릿과 연관이 있는것은 아니다.) 자바 서블릿 (java docs)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래밍 기술을 서블릿이라고 한다.서블릿은 초기화 init 메서드, 종료 시 destroy 메서드, 클라이언트 요청 request를 처리하고 응답 response를 반환하는 service메서드로 이루어져있다. 서블릿의 주 역할이 클리이언트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하는 것이..

[I/O 이해하기-1] 동기와 비동기 VS Blocking과 Non Blocking[I/O 이해하기-2] Stream vs Channel[I/O 이해하기-3] 톰캣의 요청 수신 방식이전의 [I/O 이해하기 1,2]를 통해 I/O 작업에 사용되는 개념에 대해 학습을 하였다.개념에 대한 내용은 1,2편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 글에서는 개념과 용어에 대해 세세한 설명은 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톰캣이 어떻게 요청을 처리하는지 알고 싶어 동기와 비동기, Blocking과 Non Blocking, Stream과 Channel을 학습하였다. 톰캣 9 이후 비동기-NonBlocking으로 동작한다고 하여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모든 I/O 작업을 비동기-NonBlocking으로 동작할것이라 예상했지만 결과는..
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1] - 레이어별 100% 달성 과정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2] - 테스트 환경 구축 및 시간 단축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3] - 테스트 코드 가독성 개선 테스트 커버리지 100%를 달성하니 650개 정도의 TC가 쌓였고 이에 따라 테스트 코드 실행 시간도 증가하게 되었다.나의 로컬 컴퓨터 환경에서 평균 2분 50초 정도의 시간이 걸렸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며 어느정도 시간 단축을 고려하였다고 하지만 2분 50초 가량 되는 시간은 너무 과도하다.테스트 성능 개선을 위해 유명 기술블로그나 여러 포스팅에서 성능 개선 관련 내용들을 찾아보았고,인텔리제이에 프로파일링 기능을 통해 테스트 코드 실행시간을 추적하며 작업 대상을 추려내며 작업을 진행하였다. 결과부터..

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1] - 레이어별 100% 달성 과정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2] - 테스트 환경 구축 및 시간 단축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3] - 테스트 코드 가독성 개선 최근 토스에서 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한 글과 영상을 보면서 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의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였다.나는 개인적으로 테스트를 굉장히 중요시 생각하여 해당 영상을 보고 도전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과거에 실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운영한 서비스를 대상으로 커버리지 100%에 도전하였다. 포스팅 글은 총 3편으로 제공되고 첫번째 글은 레이어별 테스트 대상 소개와 커버리지 100% 달성 과정을 공유하고,두번째 글은 레이어별 테스트 환경 구축 방법과 테스트 시간을 단축한 과정을 소개한..
[스프링 빈 생성 과정 분석 시리즈]스프링 빈 생성 과정 분석 [1] - Application Context(BeanFactory)스프링 빈 생성 과정 분석 [2] - BeanDefinitionRegistry, SingletonBeanRegistry스프링 빈 생성 과정 분석 [3] - BeanFactoryPostProcessor, BeanPostProcessor스프링 빈 생성 과정 분석 [4] - 디버깅 참고 자료 1편부터 3편까지 하여 스프링 빈 생성 과정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알아보았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개념들을 찾아보기 위해 실제 디버깅한 소스 코드를 공유하기 위해 작성하였다.스프링 부트의 run 메서드를 통해 시간순으로 어떻게 흘러가는지 코드만 공유하겠다.이를 통해 디버깅한다면 1-3편에서 설명..

동기화 도구이전 포스팅의 Pererson’s Solution을 보면 이론적으로 완벽하지만 entry section, critical section, exit section에서 사용하는 명령어가 Atomic 하지 않아 기대 결과가 달라졌다.이는 기계어의 관점에서 또는 저급 언어 수준에서 구현이 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이렇게 개발자가 기계어 수준에서까지 개발을 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기에 고급 언어에서 아래와 같은 동기화 도구를 제공한다. 각 동기화 도구에 대해 알아보자. Mutex LockSemaphoreMonitor Mutex Lockmutex란 mutual exclusion에서 나온 용어로 상호배제를 목표로 한다. lock을 acquire(획득)한 프로세스나 스레드만 critical section에 접..

동시성 문제동시(concurrent)에 공유 데이터에 access(접근)하여 데이터를 manipulate(조작)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일관성이 깨지는 문제 동시성 문제의 근본 원인프로세스나 스레드는 instruction 실행 도중 intruppted(중단) 될 수 있고 CPU의 코어는 다른 프로세스나 스레드 작업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즉, 두개 이상의 프로세스나 스레드를 동시에 수행할 때 CPU의 context-switching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이다. 아래 간단한 예제를 통해 동시성 문제의 한 예를 보자.public class ConcurrencyProblem { public static int COUNT = 0;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