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1] - 레이어별 100% 달성 과정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2] - 테스트 환경 구축 및 시간 단축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3] - 테스트 코드 가독성 개선1편과 2편에서 커버리지 100% 달성, 테스트 환경 구축, 테스트 코드 성능 개선을 다루었다.많은 시간 공을 들여 작업을 하다 보니 내가 해왔던 방식이 맞는지 검증도 하고 싶었고, 그동안 다루지 않았던 부분을 개선하고 싶기도 하였다. 무엇 보다 나는 아래 두 가지에 대해 검증 하고 싶었다. 커버리지 100%가 prod 코드에 결함이 없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지가독성 : 테스트 코드가 prod 코드를 잘 설명하고 있는지정답을 낼 수는 없겠지만 항상 위 두 부분에 부족함이 있다고 전제 하고 이 부분을 리..

낙관적 락과 비관적 락낙관적 락충돌이 드물게 발생한다고 가정데이터 변경 시점에 다른 사용자에 의해 값이 변경됬는지 체크낙관적 락은 데이터를 변경하는 시점에 다른 사용자에 의해 값이 변경됬는지 체크하는 방식으로update나 delete 쿼리 수행시 버전 정보나 타임 스탬프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 의한 변경을 체크할 수 있다.애플리케이션 수준에서 동시성 제어를 해보았다면 update나 delete 쿼리 수행시 where 문에 조건절을 걸어 반영된 레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로 판단하는 구현이 대표적인 낙관적 락의 예시이다. 비관적 락총돌이 발생한다고 가정레코드 자체에 락을 걸며, 쓰기 작업에 잠금을 하는 공유 락과 읽기/쓰기 모두 못하게 하는 배타 락이 존재한다.비관적 락은 레코드 자체에 잠금을 걸고 변경 작업을..
버퍼풀 자료구조버퍼풀은 여러개의 데이터 페이지로 이루어져 있다.버퍼풀은 메모리 공간에 존재하기에 무한정 많은 데이터를 담고 있을 수 없다.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는 제거되야한다.버퍼풀에서 사용되는 자료구조를 살펴보자. LRU(Least Recently Used) 리스트 : 가장 오래동안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 페이지 제거New 서브리스트- MRU(Mo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을 통해 가장 많이 읽힌 데이터들이 존재하는 공간- 버퍼풀의 데이터를 읽어들이면 해당 데이터는 리스트의 머리부분으로 이동한다.Old 서브리스트 - LRU 알고리즘이 사용되는 공간으로 오랫동안 읽히지 않는 데이터 관리-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는 나이가 증가하고 꼬리 부분으로 이동된다.데이터를 디스크에서 처음 버퍼풀로 가..

* 이글은 RealMysql 책을 참고하여 작성한 내용입니다.db 성능은 디스크 접근횟수에 달려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는 디스크보다 1000~1만 배 빠르다.최대한 메모리에서 많은 작업을 하고 디스크 접근을 최소화해야한다. mysql db를 공부하며 위의 전제조건이 중요하다.mysql 아키텍쳐 설계는 쓰기 작업의 안정성도 보장하지만 무엇보다 읽기 성능 향상을 위해 설계되어있다.위 내용을 중점에 두고 글을 이해해보자. mysql 아키텍쳐 [mysql 엔진]커넥션 핸들러 - 클라이언트 접속 허용- 쿼리 실행 요청sql 파서- 쿼리를 토큰(mysql이 인식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의 어휘나 기호)으로 분리해 트리 형태의 구조를 만들어 내는 작업- 기본 sql 문법 오류 검사sql 전처리기- 쿼리 파서에 의해 만..
트랜잭션 전파 속성트랜잭션의 전파속성이란 중첩된 트랜잭션 구조가 나왔을 때, 어떻게 동작 시킬지를 결정하는 속성이다.DB수준에서 중첩 트랜잭션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부분적으로 sql구문을 롤백시킬수는 있으나 중첩 트랜잭션은 존재하지 않는다.프로그래밍단에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이 부착된 메서드의 중첩 구조가 나타날 수 있고, 스프링에서는 중첩된 구조에서 다양한 옵션으로 트랜잭션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완전히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옵션 또한 제공하고 있다. * 앞으로 설명한 용어에서 부모-자식 트랜잭션이라는 표현은 프로그래밍 서버 기준이며 실제 DB에서 부모-자식 트랜잭션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것에 주의하자. DB 트랜잭션[중첩 트랜잭션 미지원]start transacti..

스프링의 디스패처 서블릿은 http 요청을 적절할 컨트롤러에 위임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패처 서블릿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바 서블릿, 서블릿 컨테이너, MVC에 대한 사전 지식을 필요로 한다.이에 대한 설명을 먼저 진행하고 디스패처 서블릿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이왕 하는거 REST 설명까지 넣었다. 물론 서블릿과 연관이 있는것은 아니다.) 자바 서블릿 (java docs)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래밍 기술을 서블릿이라고 한다.서블릿은 초기화 init 메서드, 종료 시 destroy 메서드, 클라이언트 요청 request를 처리하고 응답 response를 반환하는 service메서드로 이루어져있다. 서블릿의 주 역할이 클리이언트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하는 것이..

[I/O 이해하기-1] 동기와 비동기 VS Blocking과 Non Blocking[I/O 이해하기-2] Stream vs Channel[I/O 이해하기-3] 톰캣의 요청 수신 방식이전의 [I/O 이해하기 1,2]를 통해 I/O 작업에 사용되는 개념에 대해 학습을 하였다.개념에 대한 내용은 1,2편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 글에서는 개념과 용어에 대해 세세한 설명은 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톰캣이 어떻게 요청을 처리하는지 알고 싶어 동기와 비동기, Blocking과 Non Blocking, Stream과 Channel을 학습하였다. 톰캣 9 이후 비동기-NonBlocking으로 동작한다고 하여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모든 I/O 작업을 비동기-NonBlocking으로 동작할것이라 예상했지만 결과는..
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1] - 레이어별 100% 달성 과정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2] - 테스트 환경 구축 및 시간 단축테스트 커버리지 100% 달성기[3] - 테스트 코드 가독성 개선 테스트 커버리지 100%를 달성하니 650개 정도의 TC가 쌓였고 이에 따라 테스트 코드 실행 시간도 증가하게 되었다.나의 로컬 컴퓨터 환경에서 평균 2분 50초 정도의 시간이 걸렸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며 어느정도 시간 단축을 고려하였다고 하지만 2분 50초 가량 되는 시간은 너무 과도하다.테스트 성능 개선을 위해 유명 기술블로그나 여러 포스팅에서 성능 개선 관련 내용들을 찾아보았고,인텔리제이에 프로파일링 기능을 통해 테스트 코드 실행시간을 추적하며 작업 대상을 추려내며 작업을 진행하였다. 결과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