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ramework & Lib/스프링21 스프링 개발 배포 운영 환경설정 파일 관리(spring.profiles.active) 운영, 개발, 로컬 환경과 같이 운영체제 또는 실행환경에 따라 설정파일 속성이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는 경우 스프링 부트에서는 spring.profiles.active 속성으로 각기 다르게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어려운 기능이 아니니 사용법에 위주로 빠르게 설명을 하겠습니다. 실행환경은 로컬 (windows), 운영(aws ec2 linux)으로 구분하였으며 환경설정파일은 application.properties 기준으로 진행했습니다. (*.yml은 yml 문법에 맞게 적용시키면 됩니다.) 스프링 부트는 기본적으로 applicaion.properties에 프로젝트 속성을 설정합니다. 로컬, 운영 두가지 서버에서 실행하므로 로컬 환경은 application-local.properties라는 파일을 생성하여 .. 2022. 11. 21. 리액트 스프링부트 연동[2] (ec2 실서버에서 nginx로 리액트 배포 및 스프링 부트 연동) [이전포스팅] https://developer111.tistory.com/77?category=873164 리액트 스프링부트 연동[1](라우터 설정 및 서버정보 리턴 받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액트(웹서버)와 스프링부트(was)를 연동해보겠습니다. 제가 그동안 관리해오던 어플리케이션은 was가 웹서버 역할까지 하여 서버소스와 화면소스(html,css,script)를 모두 제공 developer111.tistory.com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실서버에서 nginx를 통해 리액트 프로젝트를 배포하고 was에 있는 서버 프로젝트인 spring 프로젝트를 연동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c2 인스턴스의 셋팅이 모두 되어있고, 리액트 프로젝트, 스프링부트 프로젝트가 모두 ec2에 설치되어있다고 가정하고 .. 2022. 10. 25. 리액트 스프링부트 연동[1](라우터 설정 및 서버정보 리턴 받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액트(웹서버)와 스프링부트(was)를 연동해보겠습니다. 제가 그동안 관리해오던 어플리케이션은 was와 web서버를 구분하지 않고 was가 동적컨텐츠와 정적컨텐츠(html,css,script)를 모두 제공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었습니다. 이러한 형태는 was에서 모든 자원을 관리하여 was의 부하가 많은 구조입니다. web서버와 was를 분리하여 web서버에서 정적 컨텐츠를 처리하게 하고 was에서는 동적컨텐츠만 처리하게 한다면 상대적으로 많은 처리와 DB접근까지 해야하는 was의 부하를 어느정도 줄여줄 수 있습니다. 저 또한 이러한 부분 때문에 웹서버와 was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성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만들어 볼까 합니다.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리액트와 스프링 부.. 2021. 12. 23. 웹에디터 게시판 써머노트 스프링 웹서버에 이미지 첨부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프링 웹서버에서 써머노트 이미지 첨부를 해보겠습니다. 단순한 이미지 첨부가 아니라 웹에디터 형식의 게시판 써머노트는 ajax를 통한 이미지 첨부를 하게 되는데요. 써머노트에서 제공하는 callback함수를 통해 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보면 callbacks로 콜백 함수 설정이 있고 onImageUpload라는 키값이 있습니다. 이는 써머노트에서 이미지가 첨부됬음을 감지하여 실행할 함수를 설정할 수 있는데요. 저는 sendFile()이라는 함수를 만들어 설정했습니다. $('.summernote').summernote({ height : 400, lang: "ko-KR", minHeight : null, maxHeight : null, focus : true.. 2021. 6. 20.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