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정규화'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에서 중복을 최소화하게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프로세스를 정규화(Normalization)라고 한다.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의 목표는 이상이 있는 관계를 재구성하여 작고 잘 조직된 관계를 생성하는 것에 있다.' 위의 정의가 일반적인 정규화의 정의 입니다. 데이터에 중복을 제거하고 삽입이상, 갱신이상, 삭제이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테이블을 설계하는게 정규화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 제1정규형제 1정규형은 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도메인이 원자값만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정규형을 말합니다. 이름취미철수축구, 야구, 농구영희농구, 배구민수골프, 축구, 탁구 위와 같은 테이블은 취미 칼럼에 여러개의 데이터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키의 개념과 구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키의 개념을 알기 위해서는 유일성과 최소성의 개념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 유일성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일성이란 테이블의 행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 또는 속성의 집합을 말합니다. 위와 같은 테이블에서 행 하나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필드값을 찾아봅시다. 학번으로 유일하게 구별 할 수 있으며 생년월일도 가능하며 이름도 가능합니다. 성별은 중복이 있어서 불가능하죠. 그런데 여기서 (이름, 성별)을 묶어서 생각하면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학번, 생년월일) , (생년월일, 이름), (생년월일, 이름, 성별), (학번, 생년월일, 이름) 등등..... ..
함수 종속성 (functional dependency) '데이터베이스의 릴레이션 R(테이블)에서 X와 Y를 R의 부분집합이라고 할 때, X의 값 각각에 대해 Y의 값이 오직 하나로 결정 될때 Y는 X에 종속 된다고 한다.' 위의 개념이 백과사전(위키백과)에 정의된 개념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테이블의 한 필드값(X)이 다른 필드값(Y)을 결정하는 관계를 함수 종속이라고 할 수 있고 이는 우리가 중고등학교 시절 배운 y=f(x)의 관계와 같다. 이때 X를 결정자라고 하며 Y를 종속자라고 한다. 정규화가 잘된 테이블일수록 결정자 X는 PK로 한개이고 종속자가 여러개인 구조를 가집니다. XY1Y2Y3Y4 위처럼 X가 다른 모든 필드값을 결정하는X -> Y1X -> Y2X -> Y3X -> Y4 와 같은 관..
mysql workbench 설치하는 방법과 사용법그리고 처음 설치하는 분들이 설치하면서 겪을수 있는 오류 해결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혹시나'the wizard was interrupted before mysql wokrbench 8.0 CE could be completely installd.'또는 'MySQL Workbench requires the Visual C++ 2013 Redistributable Pachage to be installed.'등의 오류로 다운을 못하시는 분들도 이 글이 큰 도움이 될것입니다. [mysql workbench 다운 링크]dev.mysql.com/downloads/workbench/ MySQL :: Download MySQL WorkbenchSelect 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