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3

[백준 2812번 -dfs] 단지번호 붙이기(java) 백준 2812 - dfs난이도 - 실버1 더보기단지번호붙이기 문제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기서 연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집이 좌우, 혹은 아래위로 다른 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각선상에 집이 있는 경우는 연결된 것이 아니다. 는 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지도를 입력하여 단지수를 출력하고, 각 단지에 속하는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첫 번째 줄에는 지도의 크기 N(정사각형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같으며 5≤N≤25)이 입력되고, 그 다음 N줄에는 각각 N개의 자료(0혹은 1)가 입력된다. .. 2023. 8. 21.
[백준1260번 - dfs, bfs] dfs와 bfs(java) 백준 1260 - dfs와 bfs난이도 - 실버2 더보기더보기DFS와 BFS 문제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 입력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출력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 그 다음 줄에는 BFS.. 2023. 8. 21.
HTTP 통신 깊게 알아보기 HTTP란?HTTP는 웹 환경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의사소통의 규칙이며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요청-응답 구조로 통신이 이루어진다.데이터 전송에 TCP 프로토콜, 라우팅에 IP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HTTP 버전별 특징 HTTP/0.9HTTP/1.0HTTP/1.1메서드GETHEAD, POST 추가PUT, PATCH, DELTE 등 추가헤더미존재http 버전 정보, 상태코드, Content-type 등Connection, Host 등응답HTML 문서만다양한 문서 가능- HTTP 0.9헤더가 존재하지 않고 GET 요청만 존재하며 http메시지가 한줄로 이루어진 원라인 프로토콜이었다. HTTP 1.0상태코드가 추가되어 오류 파악에 용이해지게 됬다. 1.0 이전에는 에러 페이지를 별도로 작성해야.. 2023. 8. 16.
TCP 깊게 이해하기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제어 프로토콜)TCP란 컴퓨터와 다른 컴퓨터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계층의 규약이다.인터넷 통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TCP/IP가 있다.데이터 전송에는 TCP를 사용하고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라우팅 과정은 IP를 사용한 통신 방식을 TCP/IP라 부른다. TCP의 특징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연결형 서비스흐름제어, 혼잡제어ARQTCP는 위와 같은 특징이 있다. 사실 모두 신뢰성을 위한 특징들이다.하나하나 세세하게 알아봐보자. 연결형 서비스TCP는 클라이언트(송신자)와 서버(수신자)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해 연결설정과 연결종료를 해야한다.TCP는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이 목적이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송신지와 수신지가 .. 2023. 8. 15.
반응형